
많은 분들이 정신과약, 우울증 약을 한번 먹어볼까?라고 생각하실 때 부작용이 있으며 어떡하지?항우울제가 전혀 효과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는데... 나도 그럴까?2-3개월 안에 우울증 약 먹고 드라마틱하게 좋아졌다고 하는 사람도 있던데 나도 내게 맞는 그런 약을 어떻게 하면 찾을 수 있을까? 등을 고민하게 됩니다. 항우울제를 몇 달째 처방받아 먹고있는데 전혀 효과를 못 느끼는 분, 약을 좀 바꿔봐야겠다고 생각하시는 분, 정신과약을 좀 먹어보려고 하는데 어떤 약이 나에게 최선일지 고민하고 계신 분들에게 하나의 판단기준으로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아미트립틸린(명인 아미트립틸린염산염정, 에트라빌, 에나폰) 이 항우울제는 트라조돈 다음으로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항우울제입니다. 이 약물은 우울증과 같..

항우울제는 다른 약과는 달리 끊을 때도 금단현상과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약을 먹었다 안먹었다 하거나 갑자기 약을 임의로 중단하기 때문에 약을 중단했을 때의 부작용을 알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우울증약 단약시 금단현상과 부작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울증 단약 시 대표적인 부작용은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입니다. 세로토닌 금단 증후군(Serotonin Withdrawal Syndrome)은 항우울제 금단 증후군(Antidepressant Withdrawal Syndrome)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름에 금단이 들어가 있기는 하지만 마약이나 중독성 약물을 갑자기 끊었을 때 발생하는 금단증상이 아닌 우울증 약을 갑자기 중단했을 때 발생하는 부..

본 글에서는 틱장애를 가지 아이의 부모가 가정에서 아이를 태도를 어떻게 바꿈으로서 치료를 도울수 있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틱을 다루는 가장 좋은 방법은 틱 증상을 무시하고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입니다.일과성 틱의 경우 무시하는 것만으로도 저절로 없어집니다. 틱이나 뚜렛병은 뇌의 문제이기 때문에, 아동이 이러한 소리나 움직임을 고의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고 참을 수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아동을 나무라고 비난하거나 놀려서는 안 됩니다. 부모가 벌을 주거나 선생님이 꾸중한다고 그 아동이 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 아동의 자긍심만 손상시키게 됩니다. 2) 대부분의 경우 만성 틱이나 뚜렛병을 가진 사람들도 모든 분야에서 성공적인 삶을 누릴 수 있기 때문에 좌절할 필요는 없습..